교내행사안내

2015 5
국민대학교 명원민속관 풍류나누기 <명인시리즈> Ⅱ
  • 일시 05.07(목) - 05.07(목)
  • 장소 명원민속관
  • 주최 명원민속관

 

2015년 국민대학교 명원민속관 풍류나누기 <명인시리즈> Ⅱ
“정수년의 해금세계 : 心, 그 마음”
2015. 05. 07. 목. 오후 4-5시
 

전통생활 문화공간인 명원민속관에서는 안채의 안마당을 공연장삼아 지역주민, 재학생, 교직원을 대상으로 10여년 동안 진행하여 왔던 춘·추계 문화공연을 통해 명원민속관이 가지고 있는 문화적 의미를 재발견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더 나아가 예전 양반가의 풍경이었던 풍류문화의 재현을 통해 체험을 넘는 하나의 문화로 발현하는 계기를 만들고자“명원민속관 풍류 나누기 <명인 시리즈>”(예술 감독: 김희선) 행사를 마련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현재 국악공연이 서구식 공연예술화 됨에 따라 잊혀졌던 전통적 풍류문화를 되살림으로 연주자와 관객이 한옥의 정취와 소박하지만 풍요로 왔던 우리 전통의 풍류문화의 의미를 되새기는 기회가 되고자 합니다.
 

  • 2015-1 풍류나누기<명인 시리즈> 일정
    1. 4.24.(금) 오후 4시 “이태백의 아쟁: 당신이 따뜻해서 봄이 왔습니다”
    2. 5.07.(목) 오후 4시 “정수년의 해금 세계”
    3. 6.04.(목) 오후 4시 “김일륜의 가야금 소리”

      *풍류나누기<명인시리즈>는 지역사회와 함께 하는 나눔 행사로 이 시대 전통예인들이 펼치는 고품격 예술 무대입니다. 명인과 관객이 하나가 되어 넓지 않은 대청마루 공간에서 진행되는 관계로 참여를 원하시는 분께서는 정확한 참석 인원과 함께 아래 연락처로 사전에 선착순 예약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R·S·V·P)
      *e-mail: seomisook@kookmin.ac.kr, 전화: 02-910-4291(담당: 서미숙)

      *끽다거 喫茶去 녹약정과 초당에서 차 한잔 드시고 명인과 함께 하시기 바랍니다.
       

      < 정수년의 해금세계 ‘心, 그 마음’>

      정수년의 표현력은 매우 놀랍기만 하다. 절제된 표현 속에서 강력한 힘과 오랜 기간의 수련 속에서 표출되어지는 여유로움, 무한한 에너지가 꿈틀대는 깊은 소리는 그 누구도 근접하기 어려운 소리로 평가받고 있다.

      그 소리의 바탕에는 그가 평생토록 좌우명으로 삼고자하는 ‘마음과 소리의 일치된 조화’, 다시 말하자면 단순하게 들려주고 보여지는 소리의 겉모습이 아닌 마음 깊은 곳으로 부터 얻어지는 진실된 소리의 울림을 길러내고자 하는 그의 마음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면과 더불어 그의 해금음악에서 중시되는 것은 ‘자연스러움’이다. 인위적으로 꾸며진 음악이 아니라, 악곡 속에서 이야기 하고자 함을 음양의 이치를 갖는 자연의 원리를 바탕으로 지극히 자연스러운 선율이 되도록 이끌어 낸다.

      이것은 그가 어린 시절을 자연 속에서 보낸 것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그의 고향은 충청북도 영동이다. 그 곳엔 넉넉한 모습의 감나무가 많다. 그의 음악 속에 늘 고향 같은 푸근함이 있는 것은 그가 그 감나무 밑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기 때문이리라. 그리고 그 곳은 조선시대의 악성으로 통하는 난계 박연선생의 고향이기도 하다. 이러한 인연은 그가 한국음악을 해야 할 정기를 이미 받고 태어났는지 모른다.

      어릴 적 자연을 벗 삼아 산과 들, 나무, 하늘을 보며 생각하기를 즐겼던 그의 생활 속에 이미 자연은 그의 음악적 바탕에 커다란 감성으로 자리잡고 있다. 결국 ‘자연과 음악’을 하나로 보는 면과 ‘마음과 음악’을 일치 시키는 그의 음악철학에는 뼈저리게 자기성찰을 바탕으로 한 ‘진실된 소리세계’로 귀결된다.

      그의 예술세계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미래의 해금음악을 위한 작업으로 2005년에 시 도 되었던 정수년의 “思月”을 시작으로 2006년 12월 “The Moon of December”, 2007년 11월 “Monologue”, 2009년 “우스개소리(笑談)”에서 ‘해금의 혁명’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1세기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한국음악의 특이성을 지닌 새로운 미래 해금음악 장르를 형성하고 발전시키고자 하는 정수년의 끊임없는 노력은, 해금과 서양악기를 아우르는 제3의 소리세계를 창조해 내는데 초석이 될 것이며 이는. 해금의 생명력 있는 장르를 개척함과 동시에 고품격의 해금창작곡을 개발하고자하는 ‘정수년의 해금세계’ 시리즈 안에서 구체적으로 실현되어 가고 있다.

       
  • 프로그램
    1. 지영희류 해금산조

      해금/정수년. 장고/정회석

      산조는 민속음악 장르 중 기악 독주곡으로 탁월한 예술성을 지닌다. 지영희류 해금산조는 느린 진양장단으로 시작하여 중모리-중중모리-굿거리-자진모리로 구성된다. 악곡의 느낌은 해금의 활에서 묻어나오는 진한 슬픔과 당당함, 경쾌함 등이 담겨있다.
       
    2. 해금을 위한 “ Monolgue ”

      작곡/강준일

      아름다운 노래만으로 살 수는 없다. 가끔은 끙끙대며 생각에 잠겨야 한다. 그것이 무엇이던 간에 한참 동안 떠 올리며, 곰곰이 이를 궁리해보다가, 마침내 어떤 결론에 이르고 보면, 왠지 뿌듯한 보람을 느끼게 되는 우리네 속성을 한번 그려보고 싶었다. 듣기에 조금은 어려워 보이겠지만 그냥 혼자 해보는 소리려니 하고 들어 준다면 그런대로 재미를 느낄 수도 있으리라 생각된다.
       
    3. 춘향가 중 “님따라서 갈까보다”

      해금/정수년. 소리/정회석. 편곡/강준일

      판소리 춘향가 ‘이별가’ 중 춘향과 이도령이 이별한 후, 떠나가는 이도령의 뒷모습을 보고 같이 따라가고자 하는 절절한 마음이 담긴 슬프고도 아름다운 소리이다. 2005년 정수년의 해금세계 독주회에서 서양 챔버오케스트라 반주에 소리와 해금이 협연을 하는 형식으로 위촉·편곡되어 발표된 바 있다.

       
  • 연주자 프로필
    • 해금 / 정수년
      - 충북 영동 출생
      - KBS 국악관현악단 해금수석 역임 -1998. KBS 국악대상 관악상 수상
      - 2000. 문화관광부 선정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수상 -2007. 난계 악학대상 공로상
      - 2007. 국회 대중문화 & 미디어 대상수상
      - 현,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교수 (사)해금연구회 이사 한국해금앙상블대표 A-rri 앙상블음악감독
      - 솔로 음반 '空, Beautiful Things In Life' '정수년 해금세계' '초량(初凉)'
      - 정수년의 해금세계 '思月', '12월의 달', 'Monologue', '우스개소리' 등 독주회 다수
      - 일본 동경 초청 콘써트 '정수년의 멋', '정수년의 魅感'(기오이홀 대극장). 미국 케네디센타, 스미소니안 박물관 및 일본, 중국, 몽골, 하와이, 러시아, 동남아, 독일, 영국 등 해외연주 다수
       
    • 작곡 / 강준일(~2015.3)
      - 서울대학교 문리대 물리학과 졸업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중퇴
      - 88서울올림픽 개폐회식 음악위원 역임
      - 민족음악인협회 이사, 서울음악학회 대표, 제3세대 작곡 동인
      - 한국예술종합학교 객원교수역임
      - 작품
        사물놀이와 관현악을 위한 마당,푸리,풍물
        사물놀이와 피아노를 위한 ‘십간십이지(十干十二支)’
        사물놀이와 재즈를 위한 ‘풍물굿’
        요요마 실크로드프로젝트 위촉곡 ‘해맞이 굿’
        해금협주곡 ‘思月’
        국악관현악에 의한 해금과 바이올린   협주곡   ‘소리 그림자’
        해금과 피아노를 위한 ‘소리그늘’
        슬픈 영혼(靈魂)을 위한 서시(序詩), 시정(詩情), 슬픈 노래
       
    • 소리·장고/ 정회석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및 중앙대학교 대학원 음악학과 졸업(음악학석사)
      - 한양대학교 대학원 음악학과 박사
      -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춘향가> 이수자
      - 국립국악원 민속단 지도위원, 한국예술종합학교 겸임교수
      - 보성소리 4대 계승자
      - 2000. 5. 제27회 전국판소리명창경연대회 명창부 대통령상 수상
      - 2006. 12. 올해의 예술상 수상(문화예술위원회주최)
      - 2007. 12. KBS 국악대상 종합대상 수상(한국방송공사주최)
      - 1994. 9. 정회석 ‘수궁가 완창’ CD 발매 (JIGU)
      - 2008. 2 정회석 ‘심청가완창’ CD발매 (악당이반)
      - 2015. 4 ‘뿌리깊은 나무’ CD발매 (전통&창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