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인! 국민인!!
싼샤댐 바로 그자리 이백의 양자강 소회 / 황선재(국민대박물관 학예부장)
![]() |
|
서기 757년 당 숙종과 영왕 간의 정권 쟁탈의 소용돌이에 휘말리게 된 이백은 야랑으로 유배형을 언도받는다. 당시 이백은 장강의 삼협을 지나가는데, 이때 지은 시가 바로 ‘삼협 위에서’(上三峽)다.
‘3일 아침 동안 황우협으로 가는 길/사흘 저녁을 가도 너무 더디네/사흘 아침 사흘 저녁 동안/어느새 검은 머리 하얘졌네.’
누구에게나 유배지로 떠나는 길은 멀게만 느껴진다. 시인 이백도 예외가 아니었다. 이태백 특유의 과장법이겠지만, 그는 사흘 거리에 머리가 하얗게 변했다. 그러나 2년 뒤 이백은 유배에서 사면되어 다시 삼협 상류의 장강을 지난다. 그러나 여정은 전과 달리 가볍고 경쾌하다. 천리를 하루 만에 내달렸다. 이때 읊은 시가 바로 ‘아침에 백제성을 떠나면서’(早發白帝城)이다.
‘아침 나절 채색구름 뜬 백제성을 떠나/천리길 강릉까지 하루 만에 돌아왔네/양안의 원숭이 울음소리 그치지 않는데/가벼운 조각배는 만겹 산을 지나왔네.’
삼국지의 유비가 죽은 곳으로 유명한 백제성, 즉 바이디청이 요즘 수몰 위기에 처해 있다. 지난 20일 준공된 세계 최대의 수력 발전 댐인 싼샤댐이 물가두기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중국의 서남쪽인 사천성 성도 출신인 이백의 주요 활동 무대는 양자강, 즉 장강지역이었다. 그래서 그의 시에는 장강의 명승지, 유적에 얽힌 내용이 적지 않다. 20대 시절 이백은 삼협을 나와 강릉과 금릉 등지를 유람했다. 이때 지은 시 가운데 ‘천문산을 바라보며’(望天門山)나 ‘여산폭포를 바라보며’(望廬山瀑布)와 같은 명편들이 들어 있다. 도도한 장강에서 영감을 얻어서인지 “3천 척을 날아 흘러내리는 폭포수는 은하수가 하늘에서 떨어지듯”과 같은 웅장하고 호방한 느낌의 시구들이 자주 눈에 띈다.
![]() |
|
‘금화 꽂은 절풍모 쓰고/백마 탄 채 의젓하게 걸어오네/넓은 소매 펄럭이며 춤추는 모습/해동에서 온 보라매와 같도다.’(‘고구려’ 전문)
고구려에서 파견된 사신이 이국적으로 춤추는 모습을 목격하고 읊었다는 시가 이백의 5언절구에 들어있다는 사실은 새로운 발견이다. 동북공정이 계속되는 요즘, 이백이 우리나라를 읊은 시를 감상하는 것은 감회가 남다르다.
〈조운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