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특집

[광복 70주년 특집] 영화 <암살>의 진실 혹은 거짓!
배지운 15.08.17 조회수 18023

 

2015년 8월 15일 부로 대한민국 광복의 역사가 70주년이라는 세월을 맞이하게 되었다. 일제 강점기 치하의 아픈 역사를 극복하고, 그러한 상처를 잊지 않고 후세에 전달하기 위한 여러 기념행사가 곳곳에서 진행되고 있는 요즘이다. 다른 한편으론 광복 70주년이라는 상황적 배경을 영상 속에 녹여내어 많은 국민들의 찬사와 호평을 받으며 승승장구하고 있는 작품이 있으니 바로 영화 <암살>. 일제 강점기 속 굴곡의 역사를 살아갔던 인물들의 웅장한 서사시로 우리 국민들의 마음을 울리며 현재 천 만 관객을 돌파한 흥행 대작이자 국민들의 열렬한 지지와 성원을 받고 있는 작품 <암살>. 그렇다면 영화에 나오는 흥미로운 인물들과 스토리들은 과연 어느 정도 사실에 기인한 것일까? 또한 우리가 미처 파악하지 못하고 놓쳤던 영화 속 포인트들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었을까? 영화 <암살>을 조금 더 깊게 파헤쳐보도록 하자!

 

▲영화 속 작전을 최초 지시하는 두 인물 약산 김원봉(조승우 분/위)과 백범 김구(김홍파 분/ 아래)

 

#1. 영화에 등장하는 약산 김원봉은 대체 어떤 사람인가? 그리고 영화 속 모습처럼 실제로 백범 김구와 그토록 가까운 사이였을까?

조선 의열단 단장이었던 김원봉. 영화 속에서는 거액의 현상금이 걸린 거물로서, 김구와 함께 자주 만나며 독립 운동을 계획하고, 암살 작전을 지도하는 인물로서 등장한다. 1920년부터 1929년까지 활동한 의열단을 지휘한 김원봉은 조선총독부 폭탄 투척(김익상), 종로경찰서 폭탄 투척(김상옥), 동양 척식 주식회사 폭탄 투척(나석주) 등의 작전을 지휘하며 일본이 가장 경계하는 독립운동가로 꼽히기도 했다. 실제로 김원봉의 당시 현상금은 100만원(현재 기준 320억)으로서 청산리 대첩을 승리로 이끈 김좌진 장군보다 현상금이 높을 정도로 일본군에겐 두려운 존재였다. 실제로 백범 김구와도 각별한 사이였던 김원봉. 영화 속에서 김구가 김원봉에게 “결혼식에 못가서 미안하네.”라고 말하는 장면이 있는데, 실제로 1945년 김원봉이 재혼할 때 김구가 주례를 서주기도 했을 정도 가까운 사이였다.

 

▲암살 작전의 리더이자 뛰어난 사격 실력을 갖춘 여성 저격수 안옥윤(전지현 분)

 

#2. 영화 속 주인공인 안옥윤(전지현 분)처럼 당시에도 저격수가 활동했을까?

영화 속 등장하는 주인공 안옥윤(전지현 분)은 만주 지청천 부대 제3지대에서 활동하는 저격수로 등장한다. 모신 나강(안옥윤이 극 중 사용하는 저격총)과 같은 저격 소총을 휴대하며 전투를 하는 안옥윤의 액션 장면들은 관객들의 눈길을 사로잡기 충분했는데, 그렇다면 당시 안옥윤과 같은 저격수가 활동했었을까? 실제로 당시 만주지역에서는 비교적 권총, 저격 소총과 같은 무기를 수월하게 구할 수 있는 편이었으나, 일본은 한인에게 무기 반입 밀매를 엄격히 금지하였기 때문에 한반도 내에서는 총기류를 소지하기가 무척 어려웠다.

따라서 역사적으로 안중근 의사의 의거나 전명운, 장인한 선생의 의거 또한 총기를 구입하기 쉬운 외국에서 진행되었고, 국내에서는 폭탄을 이용한 독립 운동가들의 운동이 이어지게 된 것이다. 장총을 사용하는 저격수들의 활동은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들었고, 저격수들은 정식 독립군 편제에 소속되어 만주 지역 일대에서 벌어진 수많은 전투(봉오동 전투, 청산리 대첩 등)에서 활동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암살 작전의 목표 중 한 명인 고위 간부급 친일파 강인국(이경영 분)
 

#3. 모든 친일파들은 광복 이후 재판에 기소되어 정식 절차를 거쳐 형벌을 받았다?

영화 후반부, 친일 행위로 기소되어 재판을 받는 염석진(이정재)의 모습이 표현되는데, 실제 당시의 친일파 척결은 누구에 의해 어떤 식으로 이루어졌을까?

광복 이후 일제 강점기 동안 친일 행위를 한 것으로 의심되는 자들은 모두 재판에 기소되었는데 이는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라고 하는 단체에 의해서 진행되었다. 일명 반민특위는 일제 치하 당시 일본인에게 협력해 악질적인 친일 행위를 한 사람들을 조사하기 위해서 설립된 국회 산하 특별위원회로서 수많은 친일분자들을 색출하고 재판에 넘기는 임무를 수행하였다. 그렇다면 이러한 반민특위에 의해 당시 모든 친일파들은 광복 이후 적법한 절차를 거쳐 법에 의한 심판을 제대로 받았을까? 정답은 ‘아니오’이다.

 

▲임시정부 경무국 대장이면서 동시의 일본군의 첩자 역할을 수행한 이중 스파이 염석진(이정재 분)

 

실제로 반민특위 요원들이 오랜 조사 과정을 거쳐 친일파들을 색출한 뒤 재판에 넘겼지만, 당시 1인 독재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정권 수립의 일환으로 친일파들의 지지 기반이 필요했던 이승만은 친일파 처단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았고, 친일파 처단을 부정적인 행위로 간주하여 비판하는 등의 행보를 보였다. 이러한 이승만의 비호 아래 힘을 얻은 친일 세력은 역지사지(易地思之)로 반민특위 사무실을 습격하거나 반민특위 관계자를 암살하기 위한 시도를 하고, 반민특위 반대 시위를 벌이기에 이른다. 실제로 영화 <암살> 후반부에서도 이정재가 재판장을 나서는 장면에서 반민특위를 반대하는 거리 시민들의 모습을 볼 수 있다.

결국 반민특위와 친일파 색출 관련 특별법은 1951년에 폐지되었고, 682건의 조사건수 중 기소는 221건, 판결 수는 고작 40건으로 진행되었다. 그 중 실제로 실형을 선고 받은 사람은 14명이었으며(받아도 바로 풀려나는 경우가 빈번했다.) 처형 판결은 단 1명도 선고 받지 않았다.

 

▲신흥무관학교 출신의 화끈한 행동파 요원인 속사포(조진웅 분)

 

#4. 영화 초반부 염석진이 암살 대원들을 모집하는 과정에서 신흥무관학교 출신 속사포(조진웅 분)이 요원으로 발탁되는데, 과연 이 신흥무관학교는 누구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어떤 단체인가?

영화 속 화끈한 행동 대원인 속사포(조진웅 분). 영화 내에서도 ‘신흥무관학교 출신’이라는 이야기가 여러 번 언급되는데, 이 신흥무관학교는 과연 어떤 곳일까? 1910년 나라를 잃은 경술국치 때 9대가 대를 이어 정승 판서를 역임한 명문가의 자제 우당 이회영은, 자신을 포함한 6형제와 가족들을 모두 데리고 만주로 넘어가 전 재산을 독립 자금으로 내놓고 독립운동을 시작한다. 바로 이 우당 이회영이 신흥무관학교를 세운 설립자이다. 함께 학교를 세운 6형제 중 실제로 광복을 직접 맞이한 사람은 이시영 선생 밖에 없으며, 이시영 선생은 대한민국의 초대 부통령이기도 하다.

 

▲신흥무관학교의 초대 설립자 우당 이회영(좌상)과 실제 독립운동가 김경천 장군의 수기(아래)

 

우당 이회영을 비롯한 6형제가 세운 신흥무관학교는 1920년 일제의 압력에 의해 폐교될 때까지 많은 무장독립투사를 양성하는 독립 운동 교육의 산실로 발전되어왔다. 실제로 영화 <암살> 속에서 염석진(이정재 분)이 속사포(조진웅 분)를 암살 작전의 요원으로 발탁하기 위해 설득하는 과정에서, “이야~ 신흥무관학교 졸업하면서 혈서도 썼던데? 낙엽이 지기 전에 무기를 준비해서 압록강을 한 번 건너고 싶다!” 라는 언급을 한다. 실제로 이 말은 당시 실존했던 독립운동가 김경천 장군의 수기에서 따온 말이기도 하다.

 

▲조선인 출신 살인청부업자로서 아픈 과거를 지닌 인물 하와이피스톨(하정우 분)

 

#5. 영화 속에선 ‘친일파 아버지를 죽이는 모임’이라는 목적을 가진 살부계(殺父契)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과연 이 살부계는 어떠한 단체였을까?

극 중 하와이피스톨(하정우 분)은 자신이 살부계(殺父契) 소속이었다고 말한다. ‘친일파인 아버지를 자식 된 도리로 처단하지 못하니 친구끼리 대신 죽여주기로 했었다’라고 설명하며 본인의 과거를 말하던 하와이피스톨. 도대체 이 살부계라는 단체는 어떤 곳이었을까?

실제로 살부계는 당시에도 실존했던 단체이지만 영화 속 내용과는 조금 다르다. ‘친일파 아버지를 죽이는 모임’이 아니라, 해방 후 좌익과 우익의 이념적 대립 속에서 ‘공산주의를 반대하는 아버지를 아들들이 서로 대신 죽이는 모임’이 있었으니, 이가 곧 살부계였다. 1989년에 나온 한승원의 소설 ‘아버지와 아들’에서도 공산주의 아들들이 친일파나 지주인 아버지를 죽이기로 했다는 언급이 나오며 살부계에 대한 정보가 담겨져 있고, 실제로 김구의 백범일지에도 살부계에 대한 이야기가 자세히 실려 있다.

 

▲영화 속 배경이 되는 1930년 대의 거리 모습(위)과 미츠코시 백화점의 모습(아래)

 

#6. 영화 후반부 암살 작전의 주 무대가 되는 미츠코시 백화점. 과연 이곳은 어떤 곳이었으며 광복 후에 어떻게 변화되었을까?

영화 속에서 주인공 안옥윤(전지현 분)이 안경을 주문해서 맞추고 결혼식을 진행했던 주 무대, 바로 미츠코시 백화점이다. 그렇다면 이곳은 과연 실제로 어떤 장소였으며 현재는 어떻게 바뀌었을까? 1900년대에 등장한 미츠코시 백화점은 한국에 ‘가장 처음’ 등장한 백화점이다. 조선총독부의 정책 추진의 일환으로 명동에 임시로 입주해 영업을 하다가, 1929년 미츠코시 백화점으로 정식 영업을 시작하게 되었다.

 

▲일본인 백화점(위)에서 미군정 PX(좌)를 거쳐 현재 명동 신세계 백화점(우)으로 바뀌게 되었다.

 

일본의 거대 자본을 바탕으로 화려한 장식과 대리석 바닥, 또한 당시에는 혁신적이었던 새로운 거래 방식(정찰제, 반품 제도 등)을 토대로 남촌(현재의 충무로)에 살고 있는 조선인들과 일본인들을 대상으로 많은 매출을 올렸었다.이상의 대표적 작품 ‘날개’에도 등장하는 미츠코시 백화점은 1945년 동화백화점, 미군정 시기에는 미군들의 PX(군용물품을 매매하는 상점)로 사용되다가, 현재는 삼성 그룹이 인수 후 명동 신세계 백화점 본관으로 이용되고 있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A nation that forgets its past has no future)" 윈스턴 처칠 총리의 말이다. 시간이 아무리 흘러버린다 한들, 이미 지나온 과거와 역사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우리 모두는 지금 우리가 밟고 서 있는 내 나라, 내 땅의 역사와 아픔에 대해 이해하고 공감할 줄 알아야한다. 우리의 선조들이 이 땅에 피를 흘려가며 일궈낸 자유와 투쟁의 역사 위에서, 비로소 지금의 우리가 존재할 수 있으며 대한민국의 국민으로서 살아갈 수 있는 것이다. 치욕과 비극의 역사를 극복하고 이겨낸 지 어느새 70 주년을 맞이하였다. 대한민국의 미래를 이끌어 갈 젊은 심장으로서, 우리가 물려받은 대한민국의 세월과 역사의 가치를 우리 또한 오래도록 기억하고 보존하며, 후세에 넘겨줄 수 있도록 노력하고 힘 쓸때 우리의 나라 대한민국은 조금 더 빛나고, 강인해질 것이라 확신한다.